- 교육과정 공동개발·운영…7월부터 금융권 대상 첫 교육 시행
<환경부 페이스북 정보그림>
【뉴스탑10=선임기자】환경부와 금융위원회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수단인 녹색금융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본격적으로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
양 부처는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금융감독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금융연수원과 함께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폭염, 홍수, 가뭄 등 기후위기 대응 수단으로서 녹색금융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 부처 간 공조를 통해 녹색금융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녹색금융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공동 개발 및 운영 ▲금융권 활용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 ▲교육 기반시설과 자원의 교류 및 홍보 등이다. 특히, 지난해 제정된 ‘녹색여신 관리지침’에 따라 자금 사용 목적이 친환경 경제활동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인력을 확대하게 된다.
이번 교육 과정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금융 현장에서의 적용 실무까지 아우른다. 1차 교육은 오는 7월 7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종로구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실시되며, 여신 취급 금융기관 및 녹색채권 외부 검토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다. 2차 교육은 오는 11월에 열릴 예정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녹색금융의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환경과 금융 양측의 전문성을 겸비한 인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공신력 있는 녹색금융 생태계를 조성하고 녹색투자가 실질적으로 확대되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번 협약이 금융권의 기후금융 역량을 한층 끌어올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민간 금융회사들도 녹색금융 상품 개발과 공급 확대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앞으로 금융권과 산업계의 녹색금융 인재 양성에 아낌없는 지원을 보태겠다”며 “이번 교육 과정이 우리나라 기후위기 대응의 든든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영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직무대행과 이준수 금융연수원장 역시 각 기관의 역량과 자원을 적극 지원해, 금융권과 산업현장에서 녹색분류체계가 원활히 적용되도록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녹색금융 #탄소중립 #기후위기대응 #금융위 #환경부 #녹색금융전문가 #녹색분류체계 #금융연수원 #녹색여신 #뉴스탑10 #김인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