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5-28(수)
 

거대 야당의 독주가 국회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국회가, 일방적인 입법 강행으로 ‘민주적 절차’보다 ‘정치적 의도’가 우선되는 모습에 시민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제22대 총선 이후 과반 이상을 점유한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내 사실상 ‘독점적 입법권’을 행사하면서, ‘입법 폭주’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여야 협의 없이 다수 의석을 앞세운 일방적인 법안 통과 시도가 반복되며,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원칙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1.쏟아지는 법안, 협의는 실종

총선 직후부터 민주당은 선거법, 방송법, 노란봉투법, 검사 탄핵 추진, 양곡관리법 개정안 등 굵직한 법안들을 줄줄이 발의·강행 처리했다. 특히 여야 간 충분한 협의나 사회적 합의 과정 없이 표결을 통해 밀어붙이는 방식이 반복되면서, "국민은 뒷전이고 정당의 입지만 챙긴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2.민주주의의 핵심, ‘견제와 균형’ 무너져

정치학계와 시민단체는 민주주의의 본질은 다수결이 아닌 "절차적 정당성’과 ‘소수 의견 존중"에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민주당의 최근 행보는 다수 의석이라는 힘에만 기댄 채, 소수 의견과의 타협 없이 정책을 관철시키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입법권은 국민을 대리한 국회의 권한이지, 특정 정당의 이익 실현 도구가 아니다"라는 헌법적 가치가 무시되고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온다.

 

3.절차를 무시한 입법, 부작용은 고스란히 국민 몫

입법은 사회 전체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정책의 설계'다. 충분한 논의 없이 강행 처리된 법안은 시행 후 법적 혼란과 정책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란봉투법의 경우 산업 현장 혼란과 사용자 책임 확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으며, 검사 및 대법원장 탄핵 추진은 사법부 독립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승리를 위한 입법은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법의 권위와 국민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경고한다.

 

4.여당의 무능도 한몫…제대로 된 견제 실종

입법 독주는 민주당만의 책임일까? 전문가들은 여당인 국민의힘의 무기력과 전략 부재도 큰 몫을 한다고 지적한다.
국정 운영에 있어 견제력을 상실한 여당은 효과적인 대안 제시 없이 반대만을 외치는 ‘반대를 위한 반대’로 비춰지며, 오히려 민주당의 강행 논리를 정당화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5.국민은 ‘편 가르기 정치’가 아닌 ‘상식 있는 정치’를 원한다

국회는 법을 만드는 곳이자 국민의 삶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다. 다수결이라는 이름으로 소수의 의견을 무시하는 입법은 결국 민주주의를 갉아먹는 결과를 초래한다. 여야 모두가 정쟁이 아닌 국민을 위한 책임 있는 입법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법을 만드는 손에 권력이 있다면, 그 손을 지켜보는 눈은 국민이어야 한다”


 

#민주당 #입법폭주 #국회정치 #견제와균형 #노란봉투법 #검사탄핵 #다수결논란 #국민무시정치 #정책혼란 #뉴스탑10 #김인환기자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민주당 계속되는 ‘입법폭주’ 논란…견제 실종된 국회, 민주주의는 어디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